스마트폰 때문에 일주일에 11시간 더 일해 힘들다고~
요즘 스마트폰의 발전으로 인해 다양한 문제점이 있지만 그중 스마트 기기 때문에
직장인들은 퇴근 후에도 일을 하는 것으로 조사가 됐었습니다.
카톡같은 메신저를 통해서 업무 시간 이후에 업무지시를 내리거나 하는 부분이
만연하게 발생을 했었고, 이 때문에 과중 업무가 되는 부분이기도 하는 것이죠.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25334F576A0D8E23)
이와 관련하여 근로자가 업무시간 외 업무목적으로 스마트기기를 이요하는 시간은 평일 하루 평균 1.44시간
휴일에도 업무목적으로 스마트기기를 이용하는 시간은 1.60 시간으로 평일보다 길었다네요.
평일과 휴일..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여 업무를 한 시간을 모두 합치게 되면은 일주일에 677분으로
11시간을 넘는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고 하는군요.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35854F576A0D6214)
스마트 기기로 처리하는 주 업무들은 대부분 직장. 메일 연동을 통한 메일.수신 발신
직장업무 고나련 파일 작성과 편집
메신저 SNS를 통한 업무지시
직장 사내 시스템 접근을 통한 업무처리 및 지시 등이 꼽혔다는 군요.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메신저 증후군이라는 신조어가 주목을 받고 있다고 하기도 하고..
밥먹을 때나 잠자리 들 때나 퇴근. 휴일 등 메신저 업무 관련 내용을 확인 하는 등의 뭐.. 그런내용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2F5D4F576A0D631A)
국내에서는 업무시간외 스마트폰에 따른 업무는.. 인정되지 않겠죠..
인정된다고 하면은 이를 악용하는 부분도 충분히 있을테고... 그냥 자율적으로?
쉽게 생각하면 쉽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이해관계가 얽혀있기 마련이라고 할까..
쉽게 해결될 부분은 아닌것 같기도 합니다...
하지만 해외에서는 이미 이를 규제하고 있는 부분이죠.
업무시간 외 전화를 걸거나, 메신저, 메일 등올 업무관련 연락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는 것.
우선적으로 스마트폰 팟으로 일주일에 11시간 더 일하고 있다고는 하지만 사실적으로는
이는 평균시간일 뿐.. 11시간 보다 더 많을 수도 적을 수도 있겠습니다.
따지고 보면.. 점심시간도 없다고 봐도 되는 것일까?? ㅡㅡ;
과연 일주일에 11시간 더 일했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과 관련하여 보상이 가능할 것인가?
된다고 하더라도 안해줄 것 같은데....